https://iamipro.tistory.com/113
지난번에는 maven 라이브러리 및 svn 형상관리 기본을 해보았다~!
SVN은 설치해야 하는것이나 설치되었다고 가정후...
https://m.blog.naver.com/PostView.naver?isHttpsRedirect=true&blogId=bsos1202&logNo=220203962171
프로젝트를 우클릭하고 팀을 누르면 오른과 같이 길게 나온다~!!~
자주 쓰는건 commit, update , show history 정도이다~!
우선 commit 을 살펴보자
commit 뜻은 약속하다,맡기다,저지르다 등으로 뜻이 다양한데...
자기가 만든 파일을 저장할 때 쓴다
update 는 다른 사람이 svn 형상관리에 올려놓은 것을 다운받을때 쓴다
show history 는 svn을 업데이트한 이력을 볼수 있다.
(이력을 보며 개발할 정도면 이글을 볼필요없을 것 같다.)
중간에 충돌나거나 ( 형상관리 도구인 svn 의 이력을 보려면 누르면 된다..
보통 id/pw url 입력은 한번하면 자동 저장 되니 알아서 물어보고 하고 생략..)
싱크를 맞추고 거기서 또 update/
commit 을 한다.
위의 밑줄친 부분이 나오면 충돌난것이다.
그 경우
충돌낫을 경우 overide and commit을 해서 로컬소스를 svn 서버에 저장시키거나
(충돌이 안나도 로컬에 있는 것을 덮어 쒸우면서 커밋 가능하다.)
아니면 override and update 해서 svn서버꺼를 로컬소스에 덮어버린다.
(충돌이 안나도 원격 SVN의 이전버전으로 로컬 소스를 원복시키는 용도로도 사용가능하다.)
좀더 광역적으로 Tortoise SVN이라는 것도 있다.
다음은 소스를 HTTP 통신과 연결하기 위한 WAS 로서
개발에 주로 쓰는 TOMCAT을 살펴보자
https://iamipro.tistory.com/115?category=1031104
'4차산업혁명의 일꾼 > 웹개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생초보 개발자 딱지떼기 5 - Tomcat WAS 구동 원리 탐구~! (0) | 2022.05.20 |
---|---|
생초보개발자 딱지 떼기 4 - 톰캣(Tomcat) 포트 Ports 살펴보기 (0) | 2022.05.19 |
생초보개발자 딱지 떼기2 - maven 라이브러리 위치 수동 setting 방법 살펴보기 (0) | 2022.05.17 |
생초보 개발자 딱지 떼기 1 - 이클립스 프로젝트 세팅 설정(maven, bulid) (0) | 2022.05.17 |
컴퓨터 운영체제의 간략 소개(윈도우와 맥) (0) | 2022.03.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