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번에는 톰캣(Tomcat) 포트 Ports 살펴보면서 IP와 도메인서버까지 살펴보았다
살펴보는건 멈추고
톰캣 Start~!~
톰캣을 구동!!
톰캣을 구동시켜 보자
이런 화면들이 쫘악 뜬다~!~!
WAS서버가 구동되는 것이다
CATALINA는 톰캣의 서비스 엔진 이름이다~!
8.5톰캣(위의경우) 구동 홈 위치와
이 프로젝트의 베이스 위치를 보고 나서
정보: Command line argument
톰캣 argument ~~ 옵션관련 세팅하고
http/https 프로토콜 커넥터는 많이 들어봤을거고
Apache Software Foundation의 서블릿 컨테이너인 Apache Tomcat 모든 버전 (9.x/8.x/7.x/6.x)
에서 AJP 프로토콜 (PORT : 8009)이 있는데 최근 많이 쓰이는지 2020년 3월 보안이슈가 있다.
http에 연결하기 위한 포트인 8080
톰캣 내부 프로토콜 핸들러(8009)
그리고 Catalina 톰캣 서비스가 시작된다.
웹서버와 WAS서버가 상용서버에서 트래픽 사용량이 많을 경우 분리하는게 일반적이기도 하다(하기참조)
https://velog.io/@change/WEB%EC%84%9C%EB%B2%84-WAS-%EB%B6%84%EB%A6%AC-%EC%9D%B4%EC%9C%A0
그리고 나서 스프링 Web 어플리케이션을 초기화시키고
설정을 시작한다.
스프링 가동 준비 web.xml 을 비롯하여
spring 관련 xml을 설계 설정보고
모두 매핑하면서
설계대로 스프링 공장(?)을 만든다
WAS연결 후 스프링 공장 가동이다.
(하기참조)- 이것이 이해되는 날이 올것이다.
정상적으로 만들어지면 WAS서버의 시작을 알리며
HTTP 통신과 연결을 할 수 있는 로컬 상태가 완성된다.
아까도 말했지만 localhost는 자기 컴퓨터이고 톰캣 포트가 8080 이니까
자기 컴퓨터에 WAS 구동시켜서 HTTP 통신 구동할 수 있는 상태가 되고
web.xml을 피롯하여 (보통 WEB-INF 아래에 있다.)
스프링 관련 xml을 참조하여
스프링 프레임 워크 공장이 완성된다.
https://opentutorials.org/course/2428/13594
(스프링 모듈은 위 참조- 이해되는 날이 올것이다.)
다음에는 스프링 기본인 pom.xml 에 대해 간략하게 알아보자
https://iamipro.tistory.com/117?category=1031104
'4차산업혁명의 일꾼 > 웹개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생초보 개발자 딱지 떼기 7 - 스프링 ,서블릿, 이클립 web.xml 고도화 탐구 (0) | 2022.05.21 |
---|---|
생초보 개발자 딱지 떼기 6 - 빌드도구 , 스프링 (pom.xml 구조), 스프링부트 (0) | 2022.05.21 |
생초보개발자 딱지 떼기 4 - 톰캣(Tomcat) 포트 Ports 살펴보기 (0) | 2022.05.19 |
생초보개발자 딱지떼기 3 - 자주 쓰이는 svn 형상관리 기본 (0) | 2022.05.17 |
생초보개발자 딱지 떼기2 - maven 라이브러리 위치 수동 setting 방법 살펴보기 (0) | 2022.05.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