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amipro.tistory.com/114?category=1031104
생초보개발자 딱지 떼기3에서 SVN 기본을 다루었고
이제 HTTP통신을 연결하는
WAS인 톰캣을 살펴보자
톰캣8.5 가정으로 세팅후 상태다!~
톰캣을 설치하고 나면~~
start 와 stop 버튼은 직관적으로 알것이다~~
일단 더블 클릭해서 보면 Overview 탭이 열릴것이다
거기서 우선 제일 중요한 Ports를 보자
일반적으로 8080 이 되어 있다.
이것을 바꿔도 된다
8090으로 바꿔도 된다
이 포트는 Ports라는 영문명 답게 항구다
컴퓨터를 나라라고 생각해보자(IP와 동일시해서 하나라는 뜻..)
한국에 서울항이든 부산항이든 들어가면 한국이다!!!
네트워크 통신에 필요한 IP가 특수작업을 하지 않는이상 보통 하나이고
서울항 , 부산항이 있고 어디로
들어오든 한국이듯이~
PORT를 통해 IP로 들어가면 컴퓨터이다!!!!!!!!!
다시한번
포트를 통해 들어가면 해당 IP의 컴퓨터로 진입이다~!
그래서 (IP = 컴퓨터) 이리 생각해도 된다.
보통 서버를 제공하는 컴퓨터는 서버용 컴퓨터이겠지만 말이다~!
여튼 보이지 않는 컴퓨터에 깔려있는 응용 웹프로그램에
접근하기 위해 우리는 지금도 URL을 친다
IP에 도메인서버의 도메인을 입히면 www.naver.com 과 같은 URL이 완성된다
저기서 https 는 포트 443 , http 는 포트 80인데 도메인에서는 보통 생략한다~~!
https를 쓰든 http를 쓰든~! 서울항이냐 부산항이냐 이 차이뿐
한국이라는 곳에 가기 위해 항구(프트)는 수단일 뿐이다~!
그래서 tomcat 8080 포트(서울항으로 비유)가 일반적이나 tomcat 포트를 8090(부산항으로 비유)로 바꿔도 도작한다.
그리고 localhost가 뜨는데 이거는 자기컴퓨터 이기 때문이다.(127.0.0.1)
자 다시 한번 정리해서 생각해보면
톰캣 구동시켜서 Was 구동시켜서 돌아가는 것이
현재 컴퓨터(127.0.0.1 = localhost) 의 ports 설정이라고 했다.
이것이 서버컴퓨터의 ip + port => 도메인
으로 되어 도메인으로 우리는 보통 들어간다
상식적으로 ip +port로 입력하면 기억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도메인서버는 우리가 기억하기 쉽게
서버컴퓨터의(ip)를 url과 연결시켜 준다~~
참고(https://opentutorials.org/module/288/2802)
이 다음에는 WAS(톰캣) 구동원리에 대해서 생각해보자
https://iamipro.tistory.com/116
'4차산업혁명의 일꾼 > 웹개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생초보 개발자 딱지 떼기 6 - 빌드도구 , 스프링 (pom.xml 구조), 스프링부트 (0) | 2022.05.21 |
---|---|
생초보 개발자 딱지떼기 5 - Tomcat WAS 구동 원리 탐구~! (0) | 2022.05.20 |
생초보개발자 딱지떼기 3 - 자주 쓰이는 svn 형상관리 기본 (0) | 2022.05.17 |
생초보개발자 딱지 떼기2 - maven 라이브러리 위치 수동 setting 방법 살펴보기 (0) | 2022.05.17 |
생초보 개발자 딱지 떼기 1 - 이클립스 프로젝트 세팅 설정(maven, bulid) (0) | 2022.05.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