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차산업혁명의 일꾼/웹개발

생초보 개발자 딱지 떼기 7 - 스프링 ,서블릿, 이클립 web.xml 고도화 탐구

르무엘 2022. 5. 21. 13:40

https://iamipro.tistory.com/117

 

생초보 개발자 딱지 떼기 6 - 빌드도구 , 스프링 (pom.xml 구조), 스프링부트

https://iamipro.tistory.com/116?category=1031104 생초보 개발자 딱지떼기 5 - Tomcat WAS 구동 원리 탐구~! 지난번에는 톰캣(Tomcat) 포트 Ports 살펴보면서 IP와 도메인서버까지 살펴보았다 https://iamipro.t..

iamipro.tistory.com

 

저번에는 전자정부프레임워크 빌드도구 메이븐 pom.xml 구조를 봤고

외연적으로 확장해서도 살펴보았다.

 

이제는 web.xml을 살펴보자

 web.xml 은 통상 WEB-INF밑에 있다.

 

그래서 여기서 뭐하나 살펴보면

 

처음에 이거 보고 알꺼는  위에 밑줄친 부분이 다다

필터는 utf-8 설정 했구나

스프링 파일은 spring/com/ 폴더 밑에 context- 로 시작하는 파일들이구나

서블릿파일은 springmvc/ 폴더 밑의 xml 파일 다구나

서블릿 매핑을 .do로 했구나 뭐 이런 것이다.

부가적으로

 

세션은 600 으로 세션 유지시간은 10분이구나

http 통신에서 404나 500 응답시 error.jsp 보여주는구나

 

index.jsp 웰컴파일리스트 밑에 있구나 이런 설정들이다.

 

여기서 나타나는게 서블릿인데

자바프로그램에 쓰인다.

CGI보다 발전된 서블릿에 대한 상세설명은 하단 참조.

간단설명은 이렇다.

서블릿은 웹서버 내부에서 동작하는 작은 자바 프로그램이다.

서블릿은 웹클라이언트에게 요청을 받고 그에 응답을 해준다. 주로 HTTP를 통한다

https://velog.io/@jakeseo_me/%EC%9E%90%EB%B0%94-%EC%84%9C%EB%B8%94%EB%A6%BF%EC%97%90-%EB%8C%80%ED%95%B4-%EC%95%8C%EC%95%84%EB%B3%B4%EC%9E%90.-%EA%B7%BC%EB%8D%B0-%ED%86%B0%EC%BA%A3%EA%B3%BC-%EC%8A%A4%ED%94%84%EB%A7%81%EC%9D%84-%EC%82%B4%EC%A7%9D-%EA%B3%81%EB%93%A4%EC%9D%B8

 

자바 서블릿에 대해 알아보자. 근데 톰캣과 스프링을 살짝 곁들인

서블릿 이전에 CGI가 있었다. CGI(Common Gateway Interface)는 서블릿의 조상쯤 되는 기술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CGI 이전의 웹서버는 단순히 사용자가 특정 경로를 입력하면 그 경로에 해당하는 리소스

velog.io

 

서블릿을 알면 자바에서 보이는 JSP파일을 알수 있다. 

https://mangkyu.tistory.com/14

 

[JSP] 서블릿(Servlet)이란?

1. Servlet(서블릿) 서블릿을 한 줄로 정의하자면 아래와 같습니다.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처리하고, 그 결과를 반환하는 Servlet 클래스의 구현 규칙을 지킨 자바 웹 프로그래밍 기술 간단히 말해

mangkyu.tistory.com

 

요즘은 JSP보다 발전된 기술을 쓴다고 한다.

그러나 기본적인 원리는 변하지 않았다.

위에서 서블릿 설정 폴더의 기본 서플릿 설정 파일을 보면

=>어노테이션 - controller, service, repository 

=>예외처리 연결

->mvc 의 뷰단 jsp파일 위치설정

어노테이션 없을 경우 설정

 

이런설정을 부트에서는 그냥 다....

자동화...

이런 스프링 관련 설정도 대부분... 

자동화~!~

이클립스에서 Navigator은 유지보수 파일 관리시 편하다(위 상단의 밑줄에서 파일 위치로 바로간다)

Project  Explorer 은 개발시 더 좋다고 한다

 

이 navigator로 보면

이클립스에서 기본구조는

java 파일이 java 폴더에 있고

resources 자원 -  설정관련 파일들이 있고

webapp - html,css,jsp,javascript,images 는 웹관련 뷰 파일이 위치한다.

 

 

이 자원에서 보통 global.properties 관련 설정 들을 보면 많은 

정보가 있다.

부트는 이런 여러가지 자주쓰이는

설정들을 묶어서 자동화해서

편안하게 해준다고 하나

어떻게 자동화 된건지 알아두는 것도 상식으로 좋다.

 

여기서 심화로 가기 보다..

다음에는 다시 서버쪽 IP와 네트워크 쪽으로 가서

서버 접근 기본 툴이 파일질라와 putty를 살펴보자

 

https://iamipro.tistory.com/120?category=1031104 

 

생초보개발자딱지떼기 8 - 서버 컴퓨터 접근 툴(파일질라와 putty)

많이 쓰이는 서버 접근 툴에는 파일질라와 putty가 있다. [파일질라 다운로드] https://filezilla.softonic.kr/ FileZilla 신난다 무료 FTP 클라이언트 filezilla.softonic.kr 파일질라는 보통 파일 이동에 편한..

iamipro.tistory.com

 

LIST